본문 바로가기
취미와 관심사/재활과 필라테스

운동을 배우기 전에 무조건 '해부학'이 필수다. 1탄

by 새콤한딸기🍓 2024. 7. 15.

척추측만증과 일자목, 일자허리를 고치는 동작을 이애하기에 앞서 해부학을 알아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선생님 가르침에, 오랫만에 해부학을 펴서 공부해보려고한다. 
 
근육 공부하는 방법은 5가지가 있다.
 

1. 근육의 위치/구조

조작버튼 종류와 위치를 알아야한다.
Origin(기시점/이는곳)과 isnertion(정지점/닿는곳)까지 외우기보다는 근육 부착되어있는 지점을 기억하자. 그리고 근육이 수축하면 고정되어있는 쪽으로 뼈를 움직이는 것이다.


2. 움직임 용어

움직임 용어를 알면 근육이 관절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다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3. 근육의 기능, 근육이 어떻게 관절을 움직이는가?

근육의 기능을 모르고 이름과 위치만 외우면 마치 자동차를 샀는데 시동거는 법을 모르는 것과 같다. 근육이 관절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아는 것이 근육 공부를 하는 것에 핷미이다.
예를 들어 "전면삼각근"을 공부할때 어디에 위치해 있고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연결되어 있는지 알면 근육이 수축하여 뼈를 잡아당겼을 때 관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모양을 짐작할 수 있다.

전면 삼각근은 위팔뼈와 쇄골에 붙는데, 쇄골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팔뼈를 잡아당겨오면 상완골의 내회전, 굽힘, 수평모음 시킨다. 이 3가지 기능이 전면삼각근의 기능이 된다.
 


4. 근육들의 팀 알기

근육은 항상 팀플레이를 한다. 팔을 앞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은 전면삼각근 뿐만아니라 대흉근, 이두근, 오훼완근이 함께 쓰인다.
각 근육의 기능을 알게되면 같은 기능을 하는 근육끼리 짝을 이루어 보어야한다. 팀 이름은 움직임 용어다.
예를들면 어깨를 앞쪽으로 굽혀주는 근육은 '어깨 굽힘근'이라는 팀이고 대흉근, 이두근(장두), 오훼완근, 전면 삼각근 팀원들이다.
 


5. 운동에 적용해보기

신체 움직임을 이해하며 근육을 쓰기위함이 근육공부의 목적이다. 어떤 근육이 쓰이는 운동인지 암기했다면 왜 그 근육이 쓰이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한다. 
예를들어 푸쉬업이 왜 가슴근육에 쓰이는지, 그리고 삼두는 왜 쓰이는 것인지 관절의 움직임과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

푸쉬업을 어떤 자세로 하면 어깨타겟이 되는지 삼두에 더 자극을 높일 수 있는지 기능해부학을 토대로 응용해봐야한다.

운동이 음식이라면, 근육은 재료다. 재료를 잘 이해하면 좋은 음식을 만들고 레시피를 응용해서 내 입맛에 맞는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처럼 근육을 이해한다면 더 즐거운 운동을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  
 
 
일단 첫 단계, 근골격계 위치와 이름을 파악하자.
알아야할 근육들이 많아서, 몸을 상하체와 오른쪽 왼쪽으로 4분면을 나눠서 필수로 외워야하는 근육들을 다뤄보려한다.

 
 
 

* orbicularis oculi 눈둘레근 

눈 주변에 위치한 원형 근육으로 눈의 움직임과 표정을 담당한다.
눈의 닫힘, 깜빡임, 눈주위의 주름을 형성하는데 관여한다.
 
 
 
 
 

* orbicularis oris 입둘레근

입술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원형 근육이다.
입술의 모양과 움직임을 결정한다.
입술을 닫고, 혀로 음식을 밀어넣는 도움을 주고, 발음과 표정형성에 중요한 역할을한다.
질환이생기면 입술을 닫거나 움켜잡는 것이 어렵고, 음식이나 물을 마실때 유출이 발생할수 있다.
발음문제가 생기는데 특히 p,b,m 소리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
입술 움직임이 제한이 생기면서 웃음, 찡그림 등 입 표정을 만들기 어려워진다.
 
 
 
 

* omohyoid 견갑설골근 (=어깨목뿔근)

 
 
견갑골절흔 내측에서 시작해 설골하부에 위치해있다. 흉쇄유돌근(SCM) 심층에 교차되어 위치하며 근육도중에 건이있는 두힘살근이다.음식물을 삼키고 발성할때 사용이 된다.
목의 굴곡/반대 측 회전에 역할을 하며, 흉쇄유돌근(SCM)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견갑골 상방 회전시에 외전 90도 같은 동작에서도 역할을 해서 목과 어깨 통증이 잘 안나을 경우 확인해봐야할 근육이다. omohyoid 수축이 심할경우 신경이 눌릴 수 있다.

견갑설골근증후근은 견갑설골근 하부힘살의 섬유 손상에서 온다. 이 하부 힘살에 방아쇠점이 있어서 이 부위를 치료하면 된다. 흉쇄유돌근의 쇄골 부착부위 옆의 바로 쇄골 위에서 시작해 경부 전 측면으로 방사될 수 있다.

 
 
 
 

* Pectoralis minor 소흉근

 

소흉근의 기능


말린어깨, 라운드숄더의 원인 중 하나이다.
minor 소흉근/ major를 대흉근이라 한다.
 
3~5번째 갈비뼈에서 시작하여 날깨뼈의 오훼돌기(coracoid process)에 가서 붙어있습니다. 이 작은가슴근육이 작용하게 되면 날개뼈를 앞으로 당겨주는 전인(protraction), 아래로 내려주는 하강(depression), 그리고 하방회전(downward roation)을 만들어 낸다. 신경지배는 C8, T1이다.

소흉근은 견갑골의 안정화와 호흡 호조 근육으로 쓰인다. 
타이핑 작업, 팔짱끼는 습관, 라운드숄더에 손상될 수 있다.

기능은 갈비뼈가 고정된 상태에서 날개뼈를 앞으로 끌고오며, 날개뼈 하방회전, 내회전, 벌림, 내밂, 내림과 안정화다.
호흡할 때는 날개뼈가 고정된 채로 들숨 시 갈비뼈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바른 정렬의 자세로 날개뼈가 안정화됐을 때 들숨 보조근 역할을 한다.
 

 

장시간 운전하는 자세나, 핸드폰을 하는 등 너무 구부정한 자세를 하고있다면 이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날개뼈의 움직임 제한이 발생된다. 날개뼈의 움직임이 떨어지면 등, 쇄골, 팔 움직임일 떨어져서 회전근개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하여 2차적인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이다.
어깨의 모양이 정상적 위치가 아니라면 호흡할때 자꾸 Scapular를 3,4,5 rib 방향으로 끌고 오게 되는 이상한 호흡의 모양이 되면서 호흡할 때 어깨가 아주 많이 들리고 씩씩거리는 모습을 볼 수 있게된다.
 
 
 

* coracobrachialis 부리위팔근

 
origin : 오훼돌기 
insertion : 상완골체 가운데 내측 가장자리

작용 : 상완의 굴곡, 내전
신경 : C5,6,7
 

오구완근 기능

주 기능은 상완을 굴곡하고 내전하고, 상완골두가 탈구가 되지않도록 상완삼두근 장두와 함께 끌어당겨 안정성을 유지한다.
 
 
 

 
오구완근은 팔 안쪽 삼각근과 대흉근 바로 아래 깊숙히 위치하고 있어서 가만히 팔을 내린 상태에는 형태가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팔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 상완골 간 내측면 상완삼두근과 상완이두근 사이로 뚜렷한 돌기가 형성되어 일명 '숨바꼭질 근육'이라고 한다.

* 근육 손상
1. 허리위로 손을 가져가지 못한다.
2. 머리 위로 손을 올리기가 힘들다.
3. 삼각근 전분에서 통증이 나타난다.
4. 상완과 전완 후면과 손등에서 따갑고 저리고 쓰린 느낌이 난다.
5. 촉신시 압통이 심하게 난다.
6. 머리 빗을때와 같이 전완을 회외시키고 팔꿈치를 굴곡시킨 상태에서 어깨를 굴곡시키는 힘이 약해진다.
 
수영과 같은 운동, 아이를 안고있는 것 처럼 팔을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오구완근 독단적으로 문제생기기 보다는 다른 근육의 압통으로 인해 2차적 손상으로 많이 발생한다.

* Back rub test 양성
팔을 귀까지는 굴곡시킬 수 있으나 뒤로는 재끼지 못한다.
 




* Deltoid 어깨 세모근, 삼각근

견봉을 감싸고 있는 근육이로,
시작하는 부분은 다르지만 끝나는 부분은 '상완골 조면' 한 지점으로 동일해진다.

 


* 빨간색 - 전면 삼각근 (쇄골 외측 1/3 지점)
: 견관절 굴곡, 내회전, 수평내전

* 연두색 - 측면 삼각근 (견봉의 외측)
: 견관절 90도 외전

* 파랑색 - 후면 삼각근 (견갑근)
: 견관절 신전, 외회전, 수평외전 

전면과 후면은 서로 정확하게 반대되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삼각근 파열은 잘 나타나지 않지만, 삼각근 문제가 생겼을때는 여러방향 삼각근이 문제가 되는지 확인이 필요하고, 화전근개의 통증과 착각하지 않도록 잘 구분해서 테스트해야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wfo06aTKE3U

 
 
 
 
 
 

 

* Brachilais (상완근)

 

기시(Origin) : 상완골 전면부 하부 1/3지점
정지(Insertion) : 척골 조면
신경지배 : 근피신경 C5~C6
 


아래팔이 내회전 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는 기능 그리고 근육에 저항이 있는 경우는 확실히 수축하고 감나히 펴고 있을 때는 약한 특징이 있다.




상완근 운동 시 반드시 아래팔을 내회전 후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트리거 포인트 증상
: 팔 사용할때도 통증, 팔을 사용하지 않아도 엄지손가락 바닥 통증을 느낀다.

* 상완근 단축성 긴장을 일으키는 자세
: 팔꿈치를 굽힌 상태에서 물건을 장시간 들고 있는 동작, 핸드백 들고있는 동작, 팔꿈치를 굽히고 팔베고 자는 자세, 아이를 오래 안고있는 자세
 
 
https://www.youtube.com/watch?v=ZRYJpeFPbsg

 
 
 
 
* Flecor digitorum profundus 깊은 손가락 굽힘근 (심지굴근)


아래팔의 3개의 깊은 굽힘근이 있는데, 
심지굴근 : flexor digitorum profundus 
긴엄지굴근 : flexor poliicis longus
방형근 회내근 : pronator quadratus
그 중 심지굴근에 대해 알아본다.
 

 
손가락 굽힘근은 깊은 손가락굽힘근(심지굴근)과 얕은 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으로 나뉘어진다. 천지굴근이 심지굴근보다 표층에 위치하는 근육이고, 뼈쪽으로 깊숙이 위치한 굴근이 심지굴근이다.
 
- origin : 몸쪽 척골 3/4 몸통의 안쪽면 표면
- insertion : 1~5번 손가락뼈 바닥 표면
- 기능 : 2~5번 손가락뼈 굽힘, 손목관절 굽힘
 
 

 
기능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천지굴근은 손가락의 가운데마디를 넘어서 종지하고, 심지굴근은 손가락 끝마디까지 가서 종지를 한다. 그래서 손가락의 가장 끝마디를 움직이는 것은 심지굴근만의 기능이다.
 
 
 


* 통증유발점
: 천지굴근과 심지굴근 모두 통증유발점에 의해 팔뚝 통증과 손가락 통증이 올 수 있다. 천지굴근과 심지굴근 근육을 누른 상태에서 환자에게 아픈 손가락 하나씩 굽혔다 폈다 시키면서 해당 근육이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Rectus abdominis (복직근/ 배곧은근)

 


초콜릿 복근, 식스팩이라 부르는 근육이다.
복직근을 한자로 (배복, 곧을 직, 힘줄 근) 으로 부르고, 영어로도 rectus가 '직선', abdominis는 '배'부위를 의미하는데, 이는 "복직근 = 배에 직선으로 붙은 근육"이란 뜻이다.

복직근은 백색선에 의해 좌우로 나뉘고, 가로로 나눔힘줄에 의해 위아래로 나뉜다. 

복직근은 하체와 상체의 균형을 유지해주고 배 안에 내장을 보호해주며, 척추와 상체를 앞으로 숙이기도하고 배 압력을 조절해서 허리에 힘쓰거나 호흡을 내쉬는 기능도 겸하고 있다.

 

 
- Oringin : 5~7 늑골
- Insertion : 치골 
- 신경지배 : 7~12 늑간신경
 
 

복직근 굴곡과 신전

* 복직근 단축성 수축
- 구부정한 자세, 의자생활은 단축성 수축을 야기하고, 이는 허리와 골반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라운드숄더, 위장 기능, 어깨통증, 두통도 유발되며 복직근과 배주면 마사지로도 완화되는 사례가 있다.
 
* 통증 유발점
: 통증 유발점은 상하부, 배꼽주변으로 나타나고, 통증은 아랫배 주변, 어깨뼈 아래와 허리 주변이 띠를 이루듯 방사하는 경우가 있다.
 

 


* abdominal aponeurosis 복부 널힘줄, 복부건막

업도미날 아포뉴로시스
복부에 있는 막처럼 얇고 넓은 힘줄. 배빗근(복사근, oblique abdominal muscle)과 배가로근(복횡근, transverse abdominal muscle)이 결합된 층으로 이루어진 힘줄이다. 가슴 아래에서 골반 위까지 이어진 긴 근육을 둘러싸고 있다. 배곧은근집(복직근초, rectus sheath)라고도 한다.

728x90